본문 바로가기
  • 건축 시공 감리 팁 블로그
건축 시공

6. 미장 공사(요약,특징/시공 시 유의사항/품질 관리 중점 사항)

by 건축팁도우미 2024. 12. 28.
728x90

2024.09.06 - [건축 시공] - 5. 철근콘크리트 공사(요약, 시공 시 유의사항, 품질관리사항)

 

5. 철근콘크리트 공사(요약,시공시 유의사항,품질관리사항)

2024.08.21 - [건축 시공] - 4. 부대토목공사, 조경공사 (종류, 시공 시 유의사항, 관리지침) 4. 부대토목공사,조경공사 (종류,시공시 유의사항,관리지침)2024.08.14 - [건축 시공] - 3. 지정(파일) 공사(파

archtip.tistory.com

위 내용의 철근콘크리트 공사 이후 마감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미장 공사입니다.

미장공 사는 건축물의 외부 및 내부 마감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글에서는 미장공사의 특징, 시공 시 유의사항, 품질 관리 중점 사항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벽체 미장 작업

1. 특징

1) 재료의 다양성: 미장공사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함. 일반적으로 시멘트, 모래,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이 외에도 섬유 보강재나 화학 첨가제를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


2) 기능성: 미장은 단순한 미관을 넘어서 방수, 단열, 방음 등의 기능을 제공함. 특히 외부 미장은 기후 변화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3) 시공 방법: 미장공사는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기계적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 일반적으로는 손으로 직접 작업하는 경우가 많음.

>>미장공사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당한 실력과 경험이 중요함. 이때문에 미장기능사라는 자격증도 존재하며, 특별한 학력이나 경력요건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시험은 필기와 실기시험을 치뤄 취득할 수 있음. 공사 분야에서 전문성을 높이고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기회인 만큼 취득 매리트를 상당하다고 할 수 있음.


2. 미장 공사의 종류

  설명 특징
1)모르타르 바름 -시멘트와 모래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몰탈을 사용하는 공사임.
-일반적으로 벽면이나 바닥에 적용.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며, 시공 후 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함.
-바탕 처리, 초벌 바름, 재벌 바름, 정벌 바름의 순서로 진행됨.
2)회반죽 바름 -석회와 모래를 혼합하여 만든 재료로 주로 내부 벽면에 사용됨.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주로 실내 마감에 적합.
3)석고 플라스터 바름 -석고와 모래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플라스터로 주로 실내에 사용됨. -습기가 많은 외벽이나 지하실,욕실에는 적합하지 않음.
4)합성수지 플라스터 바름(P.C.M 바름) -시멘트 몰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합성수지 기반의 플라스터임.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함.
5)흙바름 -자연 흙을 사용하여 바르는 공사
-전통적인 건축에서 많이 사용됨.
-친환경적이며, 주로 농촌 지역의 전통 가옥에서 사용됨.
6)인조석 바름 -인조석을 사용하느 마감하는 공사로, 외부 마감에 주로 사용됨.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제공하여 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음.
7)현장 테라조 바름 -현장에서 테라조를 만드는 공사로 주로 바닥 마감에 사용됨. -다양한 색상의 돌 조각을 혼합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음.

바닥 미장 작업(방통)


3. 시공 시 유의사항

1) 기후 조건: 미장공 사는 기온과 습도에 큰 영향을 받음. 너무 높은 온도나 강한 바람은 수분 증발을 촉진하여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기후 조건에서 시공해야 함.
2) 기초 작업: 미장 전에 기초 작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함. 기초가 불균형하거나 불완전하면 미장 후 균열이 발생할 수 있음.
3) 혼합 비율: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 비율이 중요함. 비율이 잘못되면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음.

>>미장작업 후속으로 타일 작업이나 기타 마감 공사를 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하여야 함.


4. 품질 관리 중점 사항

1) 재료 검사: 사용되는 시멘트와 모래의 품질을 사전에 검사해야 함. 불량 재료 사용은 전체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시공 후 관리: 미장 후에는 적절한 양생이 필요함. 수분을 유지하고, 온도 변화에 주의하여 균열을 방지해야 함.
3) 정기적인 점검: 시공 후 정기적으로 상태를 점검하여 균열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함.


>>>>미장공 사는 건축물의 외관과 기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임. 시공 시 기후 조건, 기초 작업, 혼합 비율에 유의하고, 품질 관리를 통해 재료 검사, 시공 후 관리, 정기적인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함. 이러한 점들을 잘 지킨다면, 미장공사의 품질을 높이고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