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건축 시공 감리 팁 블로그
728x90

고용노동부4

산업안전보건법)13.안전보건대장 작성 및 종류 건설업 산업재해 감소를 위해 다방면인 제도와 법령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지만, 좀처럼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지 못하다 보니 결론적으로 건설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발주자에게도 안전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게 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하나가 기본 안전보건 대장을 발주자가 작성을 하는 것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공사에서 안전보건 대장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에는 안전보건대장 작성 방법과 어떤 내용이 들어가고 종류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안전보건대장 작성이란? -건설공사발주자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안전보건 대장을 구분 작성 및 이행여부를 확인해야 함. 2. 안전보건대장 작성 대상공사 -총 공사금액이 50억 원 이상인 공사 >> .. 2023. 5. 19.
산업안전보건법)12.산업재해 발생시 조치(산업재해조사표 작성)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 보면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다가도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렇게 사고가 발생하고 난 뒤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는 사항에 따라 조치 및 보고를 하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산업재해 발생 시 어떤 조치를 하여야 하고 많이들 헷갈려하는 산업재해조사표 작성에 관한 것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사항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록을 보존할 의무가 있으며, 일정 기준이상의 산업재해는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보고해야 함. -사업주는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네는 산업재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 2023. 5. 17.
산업안전보건법)2.중대재해 현장에서 근무하다 보면 크고 작은 돌발 상황과 이에 따른 부상자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작고 크고를 떠나 반드시 작업을 중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특히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즉시 보고해야 합니다. 그중 중대재해로 분류된 경우에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또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작업장소로부터 대피시키는 등 필요한 안전, 보건 상의 조치를 한 후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적발 시 3000만 원 이상의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보고하는 것을 추천함. 1. 중대재해 1) 중대재해 목적 및.. 2023. 5. 8.
1. 건설관련 안전법의 종류와 사업단계별 규정 요즘 건설현장에서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안전입니다. 경제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건설 품질은 물론 안전까지 두루두루 신경을 써야 하고 22년 광주 아이파크 붕괴 사고 발생 등 현장 안전 관리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 이슈화되고 민감한 사항이 되었습니다. 이에 안전과 관련한 법령들이 새롭게 생겨나기도하고, 기존의 법령들이 강화되면서 건설 현장 관계자들은 현장을 관리하면서 숙지해야 할 것들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먼저 건설관련 안전법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착공 전, 후 법령에 따라 어떠한 것들을 작성, 준비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건설관련 안전법의 종류 1) 산업안전 보건법-고용노동부 2) 건설기술진흥법-국토교통부 3) 지하안전에 관한 특별법-국토교통부 4) 시설물안전법-국토교.. 2023. 5.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