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건축 감리원12 감리 용어 정리 감리업무 관련 용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 글들을 포스팅하면서 자주 나오는 단어나 용어에 대해 설명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는데 건축법 감리 업무에 대해서 말씀드리기 전에 용어 정리를 한 번 하고 가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이번 포스팅에선 감리 관련 용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공사감리"라 함은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축물 및 건축설비 또는 공작물이 설계도서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품질관리ㆍ공사관리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하여 지도ㆍ감독하는 행위로써 비상주감리, 상주감리, 책임상주감리로 구분한다. >> 이 부분은 포스팅했던 글임. 목록에서 "감리원 종류 및 배치기준"을 참조해 주시기 바람. 2. "공사감리자"라 함은 자기 책임하에(보조자의 조력을 받는 경우를 포함한다) .. 2023. 1. 30. 감리원의 업무(점검-감리업무 수행실태 점검) 감리자가 공사 현장을 관리, 감독하듯이 감리자 역시 사업계획승인권자(시,구청)나 사업주체(건축주나 지자체)에게 점검을 받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점검 사항들 역시 몇가지 규정해져 있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것들을 점검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사업계획승인권자의 지도·감독 사업계획승인권자는 제27조제1항에 따라 감리자가 감리업무 수행사항을 보고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점검·평가하여야 하며, 감리자는 이에 성실히 응하여야 한다. 1. 감리원 구성 및 운영 가. 감리원의 적정자격보유 여부 및 상주이행 상태 나. 감리결과 기록유지 상태 및 근무상황부 다. 감리서류의 비치 2. 시공관리 가. 계획성 있는 감리업무 수행여부 나. 예방차원의 품질관리 노력 다. 시공상태 확인 및 지도업무 3. 기술검토 및 .. 2023. 1. 9. 감리원의 업무(기록관리 및 인계) 감리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공사 과정에서 서류를 남기는 것입니다. 설계도면과 동일하게 현장이 시공이 잘 되었다는 증거를 남기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를 또 사업주체나 사업계획승인권자가 원할 경우 보여줘야 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업무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공사가 완료되고 준공이 된 후에도 마찬가지로 서류를 남겨놔야 합니다. 이에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 감리업무 기록관리 보고 ① 감리자는 감리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다음에서 정하는 서류를 작성하여 비치하고, 사업주체 또는 사업계획승인권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 근무상황부(출근부 및 외출부) 2. 감리업무일지(총괄감리원, 분야별 감리원) 3. 민원처리부 4. 업무지시서(별지 제15호 서식) 5... 2023. 1. 6. 감리원의 업무(의견 제시 및 보고) 감리자는 항상 사업주체를 대신하여 공사를 관리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중요한 사항이나 꼭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사안이 생길 경우 이를 즉시 사업주체에게 알려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세부적인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리자의 의견제시 등 ① 감리자는 공사 중 해당 공사와 관련하여 시공자의 공법변경 요구 등 중요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요구가 있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이를 검토하고 의견서를 첨부하여 사업주체에게 보고하여야 하고, 검토에 있어 전문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요구가 있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비상주감리원의 검토의견서를 첨부하여 사업주체에 통보하여야 한다. ② 감리원은 공사시공과 관련하여 검토한 내용이 사업주체 또는 시공자가 .. 2023. 1. 6. 감리원의 업무(기술자 교체) 다들 그런 경험 있을 겁니다. 아무리 말을 해도 듣지 않고 자기 맘대로 하는 친구, 지인, 동료 등등.. 이럴 경우 어떻게들 하시나요? 저 같은 경우는 그런 지인은 손절하거나 어떤 일이나 프로젝트가 끝나고 나면 연락을 안 하곤 하죠. 건설 현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감리자가 공사의 안전과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정당한 요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다면 정당하게 교체를 요구할 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규정된 규칙이 있는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현장대리인 등의 교체 ① 감리자는 현장대리인, 시공회사 기술자 등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업계획승인권자와 사업주체에게 그 사유에 해당하는 자의 교체 필요성을 보고하여야 하며, 사업주체는 교체사유 등을 조사·검토한 후 교체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 2023. 1. 4. 감리원의 업무(사용검사 등의 확인-준공) 모든 일에는 항상 시작과 끝이 가장 중요한데요. 이번에는 모든 공사가 끝나고 준공에 관한 얘기를 해보려 합니다. - 사용검사 등 확인 ① 감리자는 입주예정자 사전방문 전에 다음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해당 주택건설공사가 설계도서(시공상세도를 포함한다)에서 정한 내용과 동일하게 시공되었는지 여부 2. 승인된 사업계획내용 적합여부 3. 부대·복리시설 설치의 적정성 여부 4. 그 밖에 감리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② 감리자는 중간감리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와 사업주체가 임시사용검사 또는 사용검사를 신청하는 경우에 해당 공사가 설계도서·공정률 및 품질관리기준 등에 따라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 등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한 후 감리계획서 및 감리의견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1. 중간감리보고서를 제출하는 .. 2023. 1. 3.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