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11.30 - [해체 공사] - 13. 가설공사 시 주요 점검사항(해체공사 가시설공사/가설울타리/방음벽/가림막 설치기준/방음벽 설치/가설울타리 설치)
13. 가설공사 시 주요점검사항(해체공사 가시설공사/가설울타리/방음벽/가림막 설치기준/방음벽
2024.11.27 - [해체 공사] - 12. 가설공사 시 주요 점검사항(해체공사 가시설공사/가설비계 점검사항/시스템비계/강관비계/낙하물방지망/추락방호망) 가설공사 시 주요 점검사항(해체공사 가시설
archtip.tistory.com
가설공사 시 주요점검사항에 대해 위 글에서 적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제는 가설 공사 후에 해체 공사 시에 어떤 점들을 주로 점검해야 하는지 적어보려고 합니다.
해체공사에서 도면은 해체계획서이므로 기본적으로 해체계획서대로 해체공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본 공사 착수 전 현장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사전 안전조치가 적정하게 수행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그에 따라 착수 전 주요 점검 사항들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주요점검포인트
-해체계획서 준수 여부
-해체작업 착수 전 조치 적정 여부
2. 주요 점검사항
항목 | 확인 내용 |
-해체계획서 준수 여부 | |
해체계획 | -해체계획서 항목별 준수 여부 >지하매설물 등 조치계획 >장비이동계획 >가시설물 설치계획 >해체계획 >구조안전,보강계획 >안전관리대책 >환경관리대책 |
-해체작업 착수 전 조치 적정 여부 | |
위험요소 확인 및 보강조치 | -전도,붕괴,탈락 등 우려되는 위험요소 확인(부재별,위치별) -위험요인에 대한 보강계획 준수 여부 (외벽 전도 방지 보강제 설치 등) |
작업자 안전 | -추락방호망,안전대 부착설비 등 추락 방지 조치 여부 -건물 내외 작업자 안전통로 설치 여부 -작업환경에 맞는 보호용구 착용 및 착용 여부 -해체계획 및 안전계획 실시 여부 -잔재물 낙하 및 해체작업 반경 내 작업자 출입 통제 조치 여부 -협착 등 장비 운행 시 사고방지 조치 여부 |
주변 보행자 안전 | -보행자도로 측 낙하물방지망,방호서반 등 안전조치 여부 (내민길이 : 2미터 이상, 설치각도 : 20~30도 이내) -현장 주변 보행자를 위한 안전통로 확보 여부 -버스정류장 등 주변 공공이용 시설물에 대한 이동 또는 보호 조치 여부 -현장 주변 신호수 배치 여부 >현장 진출입로 >해체공사 구간과 인접한 보행자 도로 등 |
인접 건축물 안전 | -주변 지반,인접건축물 등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계측기 설치 여부 -계측관리 현황 확인 |
지장물에 대한 조치 | -가스관 등 지하매설물에 대한 이동,철거,보호,폐합 등의 조치 여부 |
폐기물 관리 | -성상별 분리배출할 수 있는 폐기물 임시 적치장 확보 여부 |
>>해체계획서를 구조사무소나 건축사사무소 등에 의뢰하여 작성할 수 있지만 시공사에서 반드시 검토하여야 하며, 해체계획서는 해당 지자체의 심의를 받았다고는 하지만, 감리자로 지정된 감리원들은 반드시 해체계획서를 면밀하게 관련 법령을 따져가며 검토하여야 하며,
해체공법이나 해체작업의 순서, 장비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에는 반드시 변경 허가나 신고가 필요하므로 놓치지 않게 주의하여야 함. 이와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따로 관련 내용에 대해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음.
>>>>다음 해체공사 관련 글에서는 해체 방법에 따른 주요 점검포인트와 주요 점검사항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음.
728x90
'해체 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해체공사시 주요검토사항(건축물 상부에 올려서 해체/건축물 해체/해체감리/해체장비 탑재/해체장비 인양) (0) | 2024.12.11 |
---|---|
13. 가설공사 시 주요점검사항(해체공사 가시설공사/가설울타리/방음벽/가림막 설치기준/방음벽 설치/가설울타리 설치) (0) | 2024.11.30 |
12. 가설공사 시 주요점검사항(해체공사 가시설공사/가설비계 점검사항/시스템비계/강관비계/낙하물방지망/추락방호망) (1) | 2024.11.27 |
11. 해체공사의 환경관리 (2) | 2024.07.24 |
10. 해체공사의 안전관리(3)-발파공법 (0) | 2024.07.23 |